티스토리 뷰

라이프

융 심리학, 연속되는 꿈

rainee0 2022. 6. 16. 02:07

연속적인 꿈은 정신의 관심사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이트 학파는 하나의 꿈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 융은 단일한 꿈의 해석에 집중하기보다는 한 자들에게 자신이 꾼 꿈들을 하루하루 세세히 기록해 달라고 요청했다. 즉 꿈의 일기를 기록하도록 한 것이다. 융은 하나의 꿈보다도 개인이 특정 기간 동안 꾸게 되는 여러 꿈이 상호관계가 있으며 이를 분석할 수 있다고 주장한 사람이다. (아마도 처음일 것이다) 특정 기간 동안 꾼 여러 개의 꿈은 책 한권 속에 들어있는 여러 장에 해당한다. 각 장은 새로운 사건과 사고 때로는 새로운 등장인물로 꾸며지는데 각 장은 한 권의 책으로 이어져 있다. 이처럼 모든 꿈을 정리했을 때 일관된 인격 상이 나타난다는 것이었다. 마치 퍼즐처럼 하나하나를 보자면 개별적 존재로 보이지만 사실상 모든 퍼즐 조각을 연결하면 하나의 완성된 그림이 나타나는 것과 같다. 또한 꿈의 내용은 사람에 따라 날마다 다를 수 있지만 당사자가 지속해서 되풀이하는 주제가 있는데 이는 개인 정신의 관심사와도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융이 연속되는 꿈을 연구하는 방식을 사용해서 이후 많은 심리학자 또는 관련분야의 사람들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결혼생활이 순탄치 못한 한 젊은 여성의 지속적인 꿈에 대한 이야기다. 이 여성은 계속 남자들과 싸우거나 강간당하는 꿈을 꾸었는데 이 여성은 복종과 지배 사이에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도 남자들과의 관계가 좋지는 않았다. 이 여성의 애정이 깊고 인정 많고 부드러운 성경이었지만, 얄밉고 도전적이며 이기적인 면도 가지고 있었다. 융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 여성은 아니무스(여성 인격의 남성적 요소)에 의해 희생자라고 말할 수 있다. 그녀는 자신에게 있는 남성성을 명확히 의식할 수 없었지만 이를 회피하고 있었으며, 자기 적이자 파괴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었던 것이 핵심이었다. 이 여성이 꿈속에서 그랬던 것처럼 일상에서도 남자들과의 관계를 잘 맺고 이어 나갈 수 없었던 이유는 무의식중 잠자란 자신 안의 증오스러운 남성적 요소가 반영된 실재였기 때문이었다. 어디서는 어떤 경우에서는 자신의 아니무스가 요동치면 그동안 소홀히 하고 있던 것에 대한 과잉 보상 심리로 인해 지나치게 남자답고 강경해지거나 얼마 가지 않아 온순하고 순종적인 여성이 되었다. 남성적인 캐리커처가 여성적인 캐리 거처로 급변하는 성격 변화가 종종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이 여성에게 남성과 가지는 잠자리는 남성적인 요소가 자신에게 침투해 오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불만족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이는 의식적으로는 인지하지 못하고 있겠으나 자신의 아니무스에 의해 의식적인 정신이 침해받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자신도 알지 못하는 사이 자신의 불완전하고 발달 되지 못한 원시적 아니무스에 협박을 당해왔고, 자신의 아니무스와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이 투영된 남자들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했다. 이 사례는 또한 우리 자신들도 만약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면 남을 탓하기 전에 우리의 정신 속에서 그 답을 찾도록 노력하고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여성과 같이 우리는 나 자신의 정신 상태를 남에게 투사하고 이것이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여성이 남성적 요소를 거부하기 시작한 것은 어린 시절의 영향이 컸다. 어머니는 남자들에 대해 좋지 못한 말들을 자주 했고 남자를 증오의 대상이라 인식하게 되었다. 이런 그녀의 인식과 태도는 그녀가 만난 남성들에게도 적용이 되고 좋지 못한 경험을 그녀의 남성에 대한 안 좋은 생각과 이미지를 더욱 강화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그녀는 점점 자신의 아니무스를 거부하게 된 것이었다.

융은 꿈의 많은 부분은 꿈을 꾸는 당사자의 개인 사정이나 심리적 조건, 심리 상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꿈을 해석하기 위해 고정된 상징의 체계 또는 꿈 해석 전문 책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다. 어떤 사람이 꾼 꿈을 분석한다고 했을 때, 꿈 자체만이 아니라 꿈을 꾼 사람의 연령, 성별, 인종 등과 같은 것을 비롯해 그 사람의 다양한 면모를 고려해야 더 정확한 분석에 가까워질 수 있다. 꿈의 내용이 같다고 할지라도 꿈을 꾼 사람이 다르다면 그 꿈은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며, 똑같은 사람이 꾼 꿈이라 할지라도 꿈을 꾼 시기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융은 꿈을 해석하고자 미리 구상된 이론의 틀에 맞추지 않고자 했으며 항상 꿈의 의미에 대해 마음 문을 활짝 열어놓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했다. 융은 만약 꿈에 대한 중요성을 배우고 싶다면 항상 꿈과 가까이 있어야 하고 꿈을 꾼 당사자의 자유 연상이 꿈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상관없는 것들을 끌어드리고 꿈을 꾼 당사자가 꿈을 이해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표를 회피하게 만들자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 자유 연상에 이끌리게 되면 본질적인 목적을 이룰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꿈꾼 당사자가 꿈 근처에 머무를 수 있도록 꿈의 여러 가지 요소를 확충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융은 자신이 직업 의사 생활을 하는 동안 약 8만 개 이상의 꿈을 듣고 조사하고 분석하고 해석했다고 한다. 그가 연구에 투자한 시간과 노력 뿐만 아니 그 결과까지고 왜 전 시대를 통틀어 융이 꿈에 있어서 최고의 전문가 중 하나로 손꼽히고 대접받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꿈에 대한 것뿐 아니라 상징에 대한 융의 지식도 마찬가지로 굉장히 넓고 깊으며 진중하다. 그의 뛰어난 업적은 꿈과 상징의 연구에서 머무른 것이 아니라 일련의 연구를 통해 집단 무의식과 그 원형 발견의 주춧돌이 되었다는 점이다.

반응형